총 674건 중 674건 출력
, 61/68 페이지
-
601
-
『전경(典經)』 「교운(敎運)」편 1장에 나타난 교운의 의미와 구절의 변이 연구
-
고남식;
대진대학교;
(대순사상논총,
v.36,
2020,
pp.153-199)
-
602
-
강증산의 강세지(降世地)인 정읍시(井邑市)에 나타난 구천상제(九天上帝) 신앙과 그 양상: 전북 정읍시 망제봉ㆍ객망리ㆍ시루산의 암시 및 정읍 관련 천지공사와 관련하여
-
고남식;
대진대학교;
(대순사상논총,
v.40,
2022,
pp.187-242)
-
603
-
조선 후기 〈揭鉢圖〉 병풍을 중심으로 본 도상의 수용과 변용
-
이세정;
은평역사한옥박물관;
(미술사연구,
v.0,
2023,
pp.127-158)
-
604
-
『전경』에 기록된 사명당(四明堂)의 풍수 물형(物形) 연구
-
신영대;
제주관광대학교;
(大巡思想論叢 =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,
v.41,
2022,
pp.133-178)
-
605
-
17~18세기 코로만델 칠병풍의 제작과 소비 양상
-
유수경;
서울시립미술관;
(미술사학연구,
v.312,
2021,
pp.75-108)
-
606
-
조선 미술에 내재한 음양합덕과 태극 - 대순사상을 중심으로 -
-
황의필;
홍익대학교;
(大巡思想論叢 =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,
v.35,
2020,
pp.217-253)
-
607
-
대순사상과 단군사상 비교연구 - 서사구조와 모티프 분석을 중심으로 -
-
차선근;
한국학중앙연구원;
(大巡思想論叢 =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,
v.31,
2018,
pp.199-235)
-
608
-
한・중 嫦娥 전승 소설의 공간서사 및 그 의의 - ⟨숙향전⟩과 ⟨三戱白牧丹⟩을 중심으로
-
박마리아;
대진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4,
pp.277-318)
-
609
-
『도장(道藏)』과 고소설에 나타나는 도가적(道家的) 상상력의 근원과 유형 연구 1 - 『진고(眞誥)』의 공간상상력을 중심으로
-
김수연;
한국학중앙연구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4,
pp.371-403)
-
610
-
조선후기 도교 권선서의 삼제군 신격과 명청대 국가의례 전개 고찰
-
김일권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도교문화연구,
v.51,
2019,
pp.65-10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