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815건 중 815건 출력
, 61/82 페이지
-
601
-
한국 TV 드라마 속 이계(異界)의 시공간적 특징에 대한 일고찰―「도깨비」(2016), 「호텔 델루나」(2019), 「쌍갑포차」(2020)를 중심으로―
-
최영희;
문현선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세종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21,
pp.145-175)
-
602
-
동아시아 여성영화의 모성신화(母性神話)와 문화번역: 한국 영화 ⟨미씽: 사라진 여자⟩(2016)와 리메이크 중국 영화 ⟨너를 찾았다(找到你)⟩(2018)의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
-
최영희;
문현선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세종대학교;
(중국지식네트워크,
v.18,
2021,
pp.269-310)
-
603
-
자전적 영화로서 정이삭의 ⟨미나리⟩(2020) 연구 : 벤야민의 ‘삶을 구성하는 힘’ 개념을 중심으로
-
최영희;
유봉근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연세대학교;
(아시아영화연구,
v.15,
2022,
pp.209-240)
-
604
-
성인여성의 페미니즘 성향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수준의 조절효과
-
최영희;
최은영;
한서대학교 피부미용화장품과학과, 강사;
한서대학교 피부미용화장품과학과, 교수;
(한국미용학회지,
v.27,
2021,
pp.1028-1041)
-
605
-
영화 ⟨드라이브 마이 카(Drive My Car)⟩(2021)에 구현된 소설 드라이브 마이 카와 희곡 바냐 아저씨의 조응 양상 연구 - 캐릭터의 특성과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-
-
최영희;
이현경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단국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5,
2023,
pp.721-735)
-
606
-
한중 범죄 영화의 표상 비교 연구: 한국 영화 ⟨베테랑⟩(2015)과 리메이크 중국 영화 ⟨대인물(“大”人物)⟩(2019)을 중심으로
-
최영희;
문현선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세종대학교;
(시민인문학,
v.0,
2023,
pp.33-69)
-
607
-
‘꿈’ 문화원형의 환상성과 미디어적 재현에 대한 일고찰 -연극 ⟨한여름 밤의 꿈⟩(극단 여행자)와 OTT 드라마 ⟨쌍갑포차⟩(JTBC)를 중심으로-
-
최영희;
문현선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세종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3,
2021,
pp.377-402)
-
608
-
글로벌 K-드라마의 여성영웅 서사 - 넷플릭스 드라마 시리즈 “마이 네임”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중심으로 -
-
최영희;
문현선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세종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5,
2023,
pp.241-252)
-
609
-
중국 현대 대중문화 콘텐츠 IP의 생사관(生死觀) 연구 - 웹소설 “삼생삼세 십리도화(三生三世十里桃花)”의 ‘삼생전세(三生轉世)’ 모티프를 중심으로 -
-
최영희;
문현선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세종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5,
2023,
pp.247-260)
-
610
-
텐센트(Tencent)의 ‘전문학(全文學)’ 전략과 중국의 디지털 리터러시
-
문현선;
최영희;
세종대학교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시민인문학,
v.0,
2024,
pp.9-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