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19건 중 719건 출력
, 61/72 페이지
-
601.
- 1970년대 국립극단 희곡의 이데올로기와 남성성 연구
- 문세영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29 p., 2013
-
602
-
임진왜란 시기 降倭의 留置와 활용
-
제장명;
;
(역사와 세계 = History & the world,
v.32,
2007,
pp.95-122)
-
603
-
全羅左水營의 水塲과 鯈魚의 意味
-
정현창;
조미선;
전남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;
여수지역사회연구소;
(지방사와 지방문화,
v.23,
2020,
pp.191-231)
-
604
-
정유재란사(丁酉再亂史) 연구에 관한 한일학계 연구의 현황
-
조인희;
연세대학교;
(학림,
v.46,
2020,
pp.153-204)
-
605
-
박종화와 이광수, ‘임진란’과 역사소설의 시계열화(時計列化)
-
공임순;
서강대학교;
(춘원연구학보,
v.0,
2018,
pp.9-36)
-
606
-
인과론적 사유의 전개와 망국사(亡國史) 이야기: 『마의태자』의 서사 구성 원리를 중심으로
-
서은혜;
홍익대학교;
(춘원연구학보,
v.0,
2018,
pp.89-124)
-
607
-
1930년대 초반 최남선‧이광수의 임진왜란 인식
-
류시현;
광주교육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23,
pp.183-207)
-
608
-
회봉 하겸진의 명장․용장 열전 연구
-
백진우;
서강대학교;
(연민학지,
v.43,
2025,
pp.163-195)
-
609.
- 시각화 활동을 활용한 독서프로그램 연구
- 조양환
-
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80장, 2018
-
610.
- 연극적 방법을 활용한 역사 수업 연구
- 박범성
-
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2 p., 20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