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37건 중 737건 출력
, 61/74 페이지
-
601
-
종묘제례악 사상과 선율의 미의식 연구
-
김현호;
영남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1,
pp.183-208)
-
602
-
조선 왕실 명기의 변천 –명기에 대한 문헌과 출토품을 중심으로-
-
전나나;
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;
(역사와 현실,
v.0,
2017,
pp.231-267)
-
603
-
儒術 裡面의 法術―朝儀 제도를 통해 본 漢文帝의 政局 운영―
-
금재원;
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;
(동서인문,
v.0,
2024,
pp.111-135)
-
604
-
조선후기 인척 세교(世交) -노상추가와 해주 정씨가를 중심으로-
-
박미해;
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;
(민족문화논총,
v.0,
2024,
pp.329-358)
-
605.
- 한국 사극영화 복식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 : 프로덕션 디자이너 정구호의 작품을 중심으로
- 장민정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박사,
xiv, 130장, 2008
-
606.
- 조선시대 전각의 바닥형식과 마루의 이용방식에 관한 연구 : 16~19세기 기록화의 공간 이용모습을 중심으로
- 배창현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ⅷ, 123 p., 2013
-
607
-
태종 조 ‘國王宴使臣樂’에 수용된 『시경』의 양상과 의미
-
조규익;
숭실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7,
pp.163-192)
-
608.
- (A) study on ceremonial writing in the early Choseon dynasty
- 이은영
-
이화여자대학교, 국내박사,
v, 240 p., 2001
-
609
-
「月令」의 사유와 제사를 통한 자연과 인간의 소통
-
이천승;
전북대학교;
(유학연구,
v.19,
2009,
pp.131-152)
-
610
-
<휘찬여사> 「열전」에 나타난 홍여하의 역사인식
-
박인호;
금오공과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14,
pp.148-17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