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]
총 250건 중 250건 출력
, 6/25 페이지
-
51
-
고전번역학의 학적 대상으로서의 고전 개념의 문제
-
남지만;
한국고전번역원;
(민족문화,
v.53,
2019,
pp.147-174)
-
52
-
3D 시각화를 이용한 조선시대 시문 분석
-
민경주;
이병찬;
Eureka Solution;
Department of General Education, Woosong university;
(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=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,
v.25,
2021,
pp.861-868)
-
53
-
고전적 정리의 측면에서 본『한국문집총간』 편찬의 의의와 향후 과제
-
박재영;
;
(민족문화,
v.42,
2013,
pp.253-285)
-
54
-
서양 고전 번역 출판에 관한 고찰 : 괴테의 ⟨Die Leiden des jungen Werther⟩를 중심으로
-
송덕호;
전북대학교;
(한국출판학연구,
v.48,
2022,
pp.55-81)
-
55
-
17세기 초 조선 騈儷體 序文의새로운 창작 경향에 대한 小考 -唐代 徐庾體 전범과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-
-
심규식;
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;
(민족문화,
v.67,
2024,
pp.61-123)
-
56
-
明齋遺稿 번역의 의의와 향후 과제
-
서정화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화,
v.37,
2011,
pp.85-112)
-
57
-
「漢韓大辭典」의 편찬과정과 향후 계획
-
윤승준;
;
(동양학,
v.0,
2012,
pp.147-166)
-
58
-
한국 古典籍의 총규모와 성격에 대한 연구
-
김재훈;
한국고전번역원;
(민족문화,
v.53,
2019,
pp.85-110)
-
59
-
「中東文庫」의 장서 현황과 자료 가치에 관한 일고
-
김호;
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;
(중국어문학,
v.0,
2024,
pp.31-56)
-
60
-
한문고전 문집번역의 특성과 문제점 -典據의 문제를 중심으로-
-
이상하;
한국고전번역원;
(민족문화,
v.31,
2008,
pp.123-14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