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Die deutsche Ideologie]
총 94건 중 94건 출력
, 6/10 페이지
-
51.
- Siegfried Lenz의 《독일어시간/Deutschstunde》에 나타난 義務觀 硏究
- 김형옥
-
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, 64p., 1985
-
52
-
게르만인과 독일문화교육
-
송완용;
서강대학교;
(독어교육,
v.37,
2006,
pp.33-62)
-
53
-
유럽 식민주의 체제와 독일: “성찰적 전환”을 위한 다시 쓰기
-
서정일;
목원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12,
pp.115-137)
-
54.
- Politik und Parteienkonkurrenz im vereinigten Deutschland
- 김영태
-
Freie Univ. Berlin, 국외박사,
XII, 211 p., 1999
-
55
-
Zwischen Kolonialgeschichte und Genozid: Zu Kontinuitätslinien der Darstellung von Tier-Mensch-Beziehungen in deutschen Publikationen und Fotografien zu Ruanda
-
Peiter Anne;
;
(Ecozon@: European Journal of Literature, Culture and Environment,
v.15,
2024,
pp.87-105)
-
56
-
작가의 허구화를 통한 시대사 비판- 귄터 그라스의 소설 『무당개구리 울음』 연구
-
김누리;
중앙대학교;
(독어교육,
v.64,
2015,
pp.101-132)
-
57
-
과거극복과 독일민속학의 새로운 시작 - 전후 민속학의 과거사 논쟁을 중심으로
-
김면;
연세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0,
pp.193-214)
-
58
-
“독일어는 어려운 언어” 담론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- 복잡한 문법의 단순화를 중심으로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교육,
v.84,
2022,
pp.39-65)
-
59
-
동독의 괴테수용
-
피종호;
한양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5,
pp.153-170)
-
60
-
⟨고대고지독어 시대⟩의 진정한 의미: 만들어진 가공의 시대? 혹은 연결고리로서의 시대?
-
송완용;
서강대학교;
(언어와 정보 사회,
v.15,
2011,
pp.121-15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