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4건 중 124건 출력
, 6/13 페이지
-
51
-
연경당 진작(演慶堂進爵)의 공간 운영과 극장사적 의의
-
사진실;
;
(한국극예술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,
v.27,
2008,
pp.13-61)
-
52
-
19세기 神貞王后 趙氏의 생애와 垂簾聽政
-
임혜련;
;
(한국인물사연구,
v.10,
2008,
pp.215-258)
-
53
-
1828년 연경당진작(演慶堂進爵)에 설치한 간이무대(簡易舞臺)에 관한 연구
-
석진영;
대진대학교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,
v.39,
2023,
pp.105-116)
-
54
-
⟨순종대왕경연가⟩를 통해 보는 궁중연향의 영향력과 의의
-
김지혜;
한성대학교;
(한성어문학,
v.46,
2022,
pp.1-29)
-
55
-
조선 후기 정재 창작 연구
-
서정록;
한국예술종합학교;
(영남춤학회誌,
v.12,
2024,
pp.177-200)
-
56
-
⟨무산향⟩의 핵심 모티브와 함축적 의미 연구
-
박태규;
이정인;
신태영;
한국예술종합학교;
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;
성균관대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3,
pp.51-76)
-
57
-
흥천사 조선후기(1829년) 석조약사불상의 연구
-
유근자;
동국대학교;
(보조사상,
v.0,
2020,
pp.43-82)
-
58
-
군신(君臣)과 사제(師弟)의 경계에서-『오서유고(梧墅遺稿)』 소재 <강의(講義)>를 통해 본 19세기 제왕 교육의 내면-
-
이은영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12,
2007,
pp.131-164)
-
59
-
순조조 기축(1829) 외연 악장의 성격
-
신경숙;
한성대학교;
(시조학논총,
v.0,
2016,
pp.151-179)
-
60
-
순조 궁중연희 내연 무대의 주렴(朱簾), 갑장(甲帳)에 관한 연구 -수리(修理)·배설(排設) 부분을 중심으로-
-
석진영;
한동수;
한양대학교 건축학과;
한양대학교 건축학과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26,
2017,
pp.67-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