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에. 테. 아. 호프만의 동화 『낯선 어린이』에 나타난 아동의 문학적 형상화와 상징성
-
장영은;
숙명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04,
pp.269-290)
-
52
-
에?테?아? 호프만의 동화 ?호두까기와 쥐의 왕?에 나타난 현실과 환상의 관계
-
권진숙;
대구가톨릭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11,
2003,
pp.21-41)
-
53
-
문학 속의 인조인간과 계몽주의 비판 - 에.테.아. 호프만의 『모래귀신』을 예로
-
이정준;
성균관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0,
2009,
pp.52-75)
-
54
-
부서지는 기계들: 하드웨어, 분신, 사이버네틱스와 나르시시즘 - 에.테.아. 호프만의 「모래 사나이」를 중심으로
-
유현주;
연세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24,
pp.119-136)
-
55
-
Technologische Zivilisation und pre-faschistische Symptome in E. T. A. Hoffmanns Literaturwelt - Am Beispiel von 'Augen'-Metapher und Nathanaels Tod in der Erzählung Der Sandmann
-
Kim, Yeon-Soo;
;
(뷔히너와현대문학 = Büchner und moderne literatur,
v.48,
2017,
pp.71-116)
-
56
-
에.테.아. 호프만의 ⟨모래사나이⟩연구 -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융합된 문학인간학을 위한 시론
-
이유선;
동덕여자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23,
2015,
pp.253-274)
-
57
-
에.테.아. 호프만의 「사촌의 구석 창문」 (1822) - 작가성의 위기와 현실인지 과정을 중심으로 -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2,
pp.105-130)
-
58
-
융합적 사고교육을 위한 문학텍스트의 교양수업 활용방안-에.테.아. 호프만의 『모래인간』을 중심으로-
-
이경희;
이화여자대학교;
(사고와표현,
v.8,
2015,
pp.157-190)
-
59
-
이중적 의미를 지닌 독일 아동청소년문학작품 번역본 비교 - 에.테.아. 호프만의 『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왕』을 중심으로
-
김지희;
서울대학교;
(독어교육,
v.86,
2023,
pp.95-120)
-
60
-
에. 테. 아. 호프만의 문학세계에서 읽는 과학기술 문명과 전(前)-파시즘적 징후 - 『모래사나이』의 '눈'-메타포와 나타나엘의 죽음을 중심으로
-
김연수;
이화여자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17,
pp.71-1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