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한글본 「뎡니의궤」의 서지적 분석
-
옥영정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서지학연구,
v.0,
2008,
pp.139-168)
-
52
-
인왕산 세심대, 정조가 주도한 새로운 인문공간의 형성 - 『洗心臺賡載軸』 소재 작품의 문학적 형상화 고찰 -
-
채지수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서울학연구,
v., 0,
2023,
pp.107-142)
-
53.
- 임오화변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 : 영조, 사도세자, 정조의 대상관계를 중심으로
- 서정미
-
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3 p., 2016
-
54
-
정조 후반 순조 초반 정치세력과 정국의 동향 - 정조 16년(1792)~순조 6년(1806)을 중심으로 -
-
김정자;
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;
(한국학논총,
v.50,
2018,
pp.443-477)
-
55
-
정조대 始興 園幸路 조성과 운영
-
이왕무;
경기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17,
pp.316-340)
-
56.
- 조선궁궐의 동조건축에 관한 연구 : 17~18세기 동궐을 중심으로
- 조옥연
-
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viii, 260 p., 2008
-
57
-
논픽션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위한 시론
-
이승하;
중앙대학교;
(픽션과 논픽션,
v.1,
2019,
pp.7-28)
-
58.
- 오태석의 역사극 연구
- 남상욱
-
상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54 p., 2012
-
59.
- 조선시대 舞童服飾에 관한 연구
- 오혜경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vi,153 p., 2006
-
60.
- 조선 후기 내취(內吹) 연구
- 박라희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석사,
x, 152 p., 2024

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