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6건 중 186건 출력
, 6/19 페이지
-
51
-
한국 근ㆍ현대 문명전환 주체를 둘러싼 논쟁에 대한 管見
-
허동현;
경희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17,
pp.271-316)
-
52
-
평양대부흥의 ‘발명’과 ‘해석적 허구’에 대한 답변
-
고훈;
Fuller Theological Seminary;
(신학사상,
v.0,
2020,
pp.403-429)
-
53
-
조선후기 군적(軍籍)의 종류와 개수실태
-
송양섭;
고려대 한국사학과;
(한국사연구,
v.0,
2024,
pp.195-238)
-
54
-
이기백의 한국사 시대구분론 -분류사를 중심으로-
-
김수태;
충남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5,
pp.185-232)
-
55.
- 회계정보 공시에 따른 사립대학 경영 변화분석
- 김영주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vi, 80장, 2008
-
56
-
한국 사학의 자주성과 공공성의 상호 관계에 대한 분석적 연구
-
김용덕;
성균관대;
(한국교육문제연구,
v.32,
2014,
pp.85-112)
-
57
-
폐교대학 기록물의 디지털화 방안에 관한 연구
-
김송;
김누리;
양동민;
이정은;
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;
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;
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,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;
전북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;
(한국기록관리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,
v.25,
2025,
pp.75-101)
-
58
-
斗溪 李丙燾의 한국고대사 체계와 歷史地理 문제
-
김두진;
국민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13,
pp.1-25)
-
59
-
조선 초기 文科관련 의식의 운영과 그 의미—文科殿試儀註와 放榜儀註로 살펴본 朝鮮 國王의 위치—
-
안슬기;
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;
(史叢(사총),
v.0,
2012,
pp.83-120)
-
60
-
조러육로통상장정(1888) 체결을 둘러싼 조·청·러 삼국의 협상과정 연구
-
한동훈;
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;
(역사와 현실,
v.0,
2012,
pp.349-3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