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659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선비문화콘텐츠의 현황과 과제 : DB구축에서 콘텐츠 제작으로 - 한국국학진흥원의 일기류 기록자료 가공 사례를 중심으로 -
-
이상호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유학연구,
v.33,
2015,
pp.29-57)
-
52
-
19세기말-20세기초 대구 대암가 후손의 종손권 분쟁에 대한 고찰 -한국국학진흥원 소장 경주 최씨 칠계 백불암파 종중 기탁 고문서를 중심으로-
-
최기척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영남학,
v.0,
2024,
pp.111-149)
-
53
-
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자료를 통해 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-「성산이씨 홍와고택」 자료로 본 국채보상운동의 단면-
-
심상훈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동아인문학,
v.0,
2015,
pp.341-371)
-
54
-
전근대 고문서 소장 현황과 문화적 활용에 대한 제언 - 국립중앙도서관,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, 한국국학진흥원을 중심으로 -
-
최연숙;
한국국학진흥원;
(古文書硏究,
v.61,
2022,
pp.99-133)
-
55
-
『정재집』의 참여 각수와 간행 경비
-
우진웅;
(재) 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24,
pp.367-396)
-
56
-
조선후기 대장편소설 변모의 한 국면 연구
-
홍현성;
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22,
pp.229-260)
-
57
-
「신립 장군 패사敗死」 전설의 시혜담施惠談 성격과 의미 연구
-
홍현성;
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24,
pp.233-264)
-
58
-
성재일기에 나타난 16세기 재지 사족의 교유 양상
-
김종석;
(재) 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20,
pp.73-105)
-
59
-
1792년 만인소 운동에 드러난 퇴계학의 영향
-
이상호;
(재) 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24,
pp.329-366)
-
60
-
『역학도설』 권3 「교저편」 도상과 주석의 출처와 의의
-
정도희;
(재) 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25,
pp.235-27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