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『民衆小說戱曲讀本』의 경극 비평 양상 연구
-
윤지양;
인천대학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21,
pp.249-277)
-
52
-
신문관 출판 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(2)-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
-
권두연;
연세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0,
pp.264-308)
-
53
-
불교의 주석 전통과 과문(科文)의 발달
-
조은수;
서정형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불교학연구,
v.41,
2014,
pp.1-25)
-
54
-
漢文敎育 硏究의 爭點
-
백광호;
전주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4,
pp.7-52)
-
55
-
日帝强占期 京城帝國大學의 奎章閣 관리와 所藏 資料 활용
-
김태웅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08,
pp.161-181)
-
56.
- 朝鮮刊杜詩集源流考
- 민경삼
-
Nanjing University, 국외박사,
viii,99p., 1998
-
57
-
경인민속학회의 지향과 과제
-
정형호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51,
2010,
pp.177-211)
-
58
-
통합형 u헬스케어디자인 연구성과 분석
-
최인영;
이민아;
백진경;
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;
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;
인제대학교;
(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,
v.20,
2021,
pp.9-22)
-
59
-
17세기 이후 한중일 3국의 유학 전개와 특징
-
김문준;
건양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55,
2024,
pp.85-113)
-
60
-
燕行錄을 통해 본 康雍 年間 中國 書籍 유입에 대하여
-
부유섭;
한국학중앙연구원;
(漢文學報,
v.22,
2010,
pp.269-3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