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9건 중 159건 출력
, 6/16 페이지
-
51
-
역 제 3자 효과: 윤리강령이 탐사보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
-
박정의;
인하대학교;
(커뮤니케이션학 연구,
v.12,
2004,
pp.86-98)
-
52
-
탐사보도 프로그램의 논증모형에 관한 분석 연구 : ⟨PD수첩⟩의 ‘줄기세포’ 관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
-
설진아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한국언론학보,
v.53,
2009,
pp.371-395)
-
53.
- 탐사보도의 취재 · 제작 관행과 취재원의 '피해 관련 태도'의 관계 유형에 관한 연구 : 취재대상이 사건 피해자인 경우를 중심으로
- 이정애
-
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46p., 2009
-
54.
- TV 탐사보도와 언론윤리에 관한 연구 : KBS 다큐멘터리 <3대 세습, 그들은 탈북한다>를 중심으로
- 안양봉
-
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, 국내석사,
v, 109 p., 2012
-
55
-
탐사저널리즘의 주체 변동: 공영모델의 조락과 비영리모델의 부상
-
박인규;
인하대학교 언론정보학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7,
2017,
pp.27-38)
-
56
-
지역 텔레비전 탐사보도 프로그램의 지역성 구현에 관한 탐색: - 울산MBC ⟨돌직구 40⟩에 대한 사례 연구 -
-
김진영;
성민규;
울산과학기술원;
울산과학기술원;
(영상문화콘텐츠연구,
v.0,
2016,
pp.47-77)
-
57
-
An Exploratory Study on Ground-wave Broadcasting Journalists' Perception of Control Factors on Investigative Journalism : Analysis of Media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Factors according to Hierarchy of Influence Model
-
Yang, Manhee;
Lee, Min-Kyu;
;
(한국소통학보 = Journal of speech,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,
v.22,
2023,
pp.155-205)
-
58.
- 정책결정과정에서의 매스미디어의 역할연구
- 강철수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71p., 2003
-
59
-
몰래카메라를 사용한 탐사 보도 프로그램의 법적 용인 범위에 관한 연구 ―국민의 알권리 확보의 측면에서―
-
엄기열;
대구대학교;
(언론과 법,
v.9,
2010,
pp.231-251)
-
60
-
탐사보도 이용과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: 이용동기, 품질 및 사회적 역할 평가, 정치효능감을 중심으로
-
오대영;
남재일;
가천대학교;
경북대학교;
(한국소통학보,
v., 18,
2019,
pp.290-3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