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74건 중 374건 출력
, 6/38 페이지
-
51.
- 퍼스 기호학으로 포의 추리소설 읽기
- 김해진
-
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72p., 2000
-
52
-
1950~90년대까지 추리소설의 전개 양상
-
오혜진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44,
2010,
pp.299-320)
-
53
-
변용 추리소설의 소설적 의의 - 『최후의 증인』과 「소문의 벽」의 비교를 중심으로
-
임성래;
이정옥;
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11,
2005,
pp.281-306)
-
54
-
동아시아 추리소설과 근대문명 -근대 동아시아 추리소설 장르의 기원과 그 수용-
-
박소현;
성균관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9,
pp.99-126)
-
55
-
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일본 추리소설의 소비양상 분석
-
권희주;
건국대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0,
pp.7-26)
-
56
-
하드보일드 추리소설의 남성동성애 성정치학
-
계정민;
계명대학교;
(근대영미소설,
v.23,
2016,
pp.5-21)
-
57
-
계몽과 낭만의 소통, 역사 추리소설로 거듭나다
-
오혜진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40,
2009,
pp.295-316)
-
58.
- 한국 근대 추리소설 연구 : 태동과 전개과정을 중심으로
- 김효진
-
강원대학교, 국내박사,
iii, 153 p., 2014
-
59
-
오셀로와 이야고 : 추리소설 작가 아가서 크리스티의 눈을 통하여
-
김미예;
;
(Shakespeare review,
v.39,
2003,
pp.771-801)
-
60.
- 한국 추리소설의 형성과정 연구 : 김내성(金來成)의 『마인』을 중심으로
- 백윤경
-
忠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94p., 20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