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182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중간내각 시대(1922.6-1924.7)의 조선총독부
-
이형식;
;
(東洋史學硏究 = Journal of Asian historical studies,
v.113,
2010,
pp.271-308)
-
52
-
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유림정책
-
류미나;
;
(역사와 현실,
v.2007,
2007,
pp.309-341)
-
53
-
1930년대 동해횡단항로와 조선총독부 해운정책
-
하지영;
동아대학교 사학과 강사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21,
2020,
pp.1-40)
-
54
-
조선총독부의 기록수집 활동과 식민통치
-
이승일;
국회기록보존소;
(기록학연구,
v.0,
2007,
pp.3-37)
-
55
-
Management and reality of the Jesaengwon of the Government-General of Korea under the Empire of Japan
-
Cho, Myung-Keun;
;
(全北史學 = The Jeonbuk Historical Journal,
v.54,
2018,
pp.223-256)
-
56
-
구 조선총독부 청사 (구 중앙청) 기초말뚝 통나무의 수종과 재질
-
박원규;
김요정;
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고옥재.연륜실험실;
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고옥재.연륜실험실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9,
2000,
pp.48-52)
-
57
-
지배자들의 내면 읽기 - 조선총독부 관계자들의 녹음기록
-
신주백;
;
(역사연구,
v.2000,
2000,
pp.349-361)
-
58
-
근대적 임야소유제도의 형성과정에 있어서의 조선총독부의 역할
-
김성욱;
;
(社會科學硏究 : 慶星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,
v.24,
2008,
pp.23-40)
-
59
-
조선총독부 벽화에 관한 고찰 - ‘내선일체’의 표상에서 ‘근대 벽화’로
-
김정선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26,
2008,
pp.141-170)
-
60.
- 신의주·安東간 密輸出 성격과 조선총독부 團束의 양면성(1929~1932)
- 김태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61 p., 20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