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18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식민지/해방 조선의 맑스주의 역사철학: 신남철의 ‘역사적 주체론’과 ‘비극적 운명론’
-
박민철;
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시대와 철학,
v.33,
2022,
pp.75-113)
-
52
-
Seo Gyeong-deok School and the Folklore of Neo-Confucianism in Joseon - Focused on I Ching philosophy of Seo Gyeong-deo -
-
Uhm, Jin-Sung;
;
(철학논총,
v.102,
2020,
pp.547-568)
-
53.
- 동·서양미술의 철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한 비교감상 수업연구 : 조선시대 회화와 르네상스시대 회화중심으로
- 김민정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92장, 2014
-
54
-
[특집 해방 60년, 우리 속의 식민지 한국철학 3] 다카하시 도오루의 조선 양명학 연구에 대한 소고
-
박홍식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3,
2005,
pp.194-208)
-
55
-
16세기 조선 성리학의 과학과 철학 - 天命圖 작성에 나타난 天人合一觀과 天文硏究의 관계
-
유권종;
;
(儒敎 思想 硏究,
v.17,
2002,
pp.133-158)
-
56
-
조선 전기 가족 인식에 대한 여성철학적 성찰 - 소혜왕후의 『내훈』과 친불교적 발언을 중심으로
-
김세서리아;
;
(한국여성철학= Korean feminist philosophy,
v.11,
2009,
pp.1-30)
-
57
-
일제강점기 한국철학 연구의 양상 ―연구 주체의 성격과 조선유학에 대한 입장을 중심으로
-
김우형;
연세대학교(미래캠퍼스) 근대한국학연구소;
(철학탐구,
v.65,
2022,
pp.61-92)
-
58
-
북한 조선철학사 연구에서 동학・천도교의 의미: ‘조선근대철학의 시작과 종결’이라는 은유
-
박민철;
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철학연구,
v.0,
2024,
pp.41-70)
-
59
-
조선 예학사상의 근대적 해석에 관한 小考 − 호르크하이머의 사회철학을 중심으로 −
-
최문형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0,
pp.101-135)
-
60.
- 朝鮮朝後期 北學派의 哲學思想에 關한 硏究 : 洪大容과 朴齊家를 中心으로
- 정성식
-
成均館大學校, 국내석사,
81p., 198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