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원본비평을 통해 본 『탁류』의 텍스트 문제
-
정홍섭;
서울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10,
pp.445-470)
-
52
-
1970년대 서울(사람들)의 삶의 문화에 관한 극한의 성찰―박완서론(1)
-
정홍섭;
서울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1,
pp.401-435)
-
53
-
이상 문학에 나타난 도시 이미지
-
정홍섭;
서울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09,
pp.353-371)
-
54
-
문화론의 관점에서 본 근대화 담론과 농촌/도시 소설 :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‘키워드’를 주요 매개로
-
정홍섭;
서울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0,
pp.508-538)
-
55
-
채만식 문학의 풍자적 특질
-
정홍섭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6,
2002,
pp.31-57)
-
56
-
전후 북한의 아동문학론
-
정홍섭;
서울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1,
2005,
pp.193-216)
-
57
-
⟨탁류⟩의 방언과 북한어
-
정홍섭;
서울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10,
pp.243-276)
-
58
-
춘원 문학의 나르시시즘과 자전적 성격-「농촌계발」과 「민족개조론」을 중심으로
-
정홍섭;
아주대학교;
(춘원연구학보,
v.0,
2018,
pp.111-143)
-
59
-
나르시시즘의 거울 만들기로서의 이광수의 자전적 글쓰기
-
정홍섭;
아주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19,
pp.235-265)
-
60
-
춘원 이광수의 상해 망명 배경
-
정홍섭;
아주대학교;
(춘원연구학보,
v.0,
2019,
pp.139-1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