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정약용의 성 기호설 - 윤리적 자연주의의 시각에 입각하여 -
-
정소이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9,
pp.449-488)
-
52
-
정약용 심성론의 변천에 관한 연구
-
정소이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철학사상,
v.0,
2009,
pp.3-33)
-
53
-
덕성(德性)에서 덕행(德行)으로: 과도기 윤리학으로서의 다산 사상
-
정소이;
서울대학교;
(인간.환경.미래,
v.0,
2012,
pp.43-62)
-
54
-
Tasan on Righteousness and Profit : in Comparison to Zhu Xi and Wang Yangming
-
정소이;
경희대학교;
(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,
v.0,
2012,
pp.77-104)
-
55
-
茶山 靈體論의 儒學的 背景 - 성호학파를 중심으로
-
정소이;
인제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3,
pp.231-260)
-
56
-
다산 정약용의 인심·도심론
-
정소이;
서울대학교;
(다산학,
v.0,
2011,
pp.273-306)
-
57
-
퇴계 이황, 성호 이익, 다산 정약용 심성론의 연속성과 차이에 대한 연구
-
정소이;
인제대학교;
(인간.환경.미래,
v.0,
2013,
pp.35-70)
-
58
-
False-positive Elevations in Carcinoembryonic Antigen Levels at a Health Screening Center
-
정소이;
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진단검사의학과, 헬스케어 연구소;
(Laboratory Medicine Online,
v.9,
2019,
pp.146-152)
-
59
-
레귀돈의 「대학해大學解」와 정약용의 『대학공의大學公議』 해석 비교
-
정소이;
서강대학교;
(다산학,
v.0,
2017,
pp.119-150)
-
60
-
렉시오 디비나(Lectio Divina)의 관점으로 본 茶山의 讀書法
-
정재상;
정소이;
서강대학교;
서강대학교;
(인간.환경.미래,
v.0,
2017,
pp.53-8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