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연극 ⟨궁리⟩에 나타난 하위도상의 ‘공간화’ 지향 연구 - 인물의 갈등과 오브제를 중심으로 하여
-
전주희;
당림미술관;
(기호학 연구,
v.50,
2017,
pp.263-288)
-
52
-
본풀이의 ‘경쟁 화소’와 ‘일월조정 화소’에 나타난 자원에 대한 인식과 분배 방식 연구 - '천지왕본풀이', '할망본풀이', '마누라본풀이'를 중심으로 -
-
전주희;
소속없음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9,
pp.5-44)
-
53
-
한국의 혼인과 가족 문화의 관점에서 본 ⟨선녀와 나무꾼⟩ – 결혼 생활에 관한 집단 기억과 공유된 정서를 중심으로
-
전주희;
소속없음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9,
pp.101-153)
-
54
-
쥐 둔갑설화에 나타난 존재와 인식의 아이러니
-
전주희;
서강대학교;
(동남어문논집,
v.1,
2009,
pp.127-150)
-
55
-
제주도 무구(巫具) ‘삼멩두’를 통해 본 무조신과 심방의 의미
-
전주희;
서강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11,
pp.5-28)
-
56
-
제주도 서사무가의 증여 모티프와 제의적 상관성 - ⟨차사본풀이⟩와 ⟨칠성본풀이⟩를 중심으로 -
-
전주희;
서강대학교;
(동남어문논집,
v.1,
2008,
pp.227-249)
-
57
-
제주도 서사무가 ⟨지장본풀이⟩의 신화적 의미 연구-‘지장’과 ‘새’의 의미를 중심으로 하여-
-
전주희;
서강대학교;
(한국무속학,
v.0,
2015,
pp.179-215)
-
58
-
⟨내왓당무신도⟩의 도상성(Iconicity)과 제주 무속의 생태성
-
전주희;
서강대학교;
(한국무속학,
v.0,
2013,
pp.261-297)
-
59
-
사위 관련 설화 연구- 사위와 처가의 관계, 이야기의 통과의례적 성격을 중심으로
-
전주희;
독립연구자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20,
pp.245-298)
-
60
-
인간 문화와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본 제주도 본풀이의 총체성
-
전주희;
순천향대학교;
(한국무속학,
v.0,
2019,
pp.151-1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