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3건 중 93건 출력
, 6/10 페이지
-
51
-
⟨빈상설⟩과 고전소설의 관련 양상 및 그 의의 - ⟨사씨남정기⟩, ⟨창선감의록⟩과의 관련을 중심으로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3,
pp.71-112)
-
52
-
조선 후기 대하소설과 士大夫家 여성 독자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07,
pp.147-176)
-
53
-
새 자료 ⟨정향전⟩의 자료적 특성과 가치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0,
pp.211-247)
-
54
-
⟨성현공숙렬기⟩에 나타난 부부 갈등의 성격과 여성 독자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07,
pp.7-38)
-
55
-
⟨소현성록⟩ 여성반동인물의 행위 양상과 그 의미
-
장시광;
홍익대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4,
pp.347-375)
-
56
-
⟨유씨삼대록⟩ 여성수난담의 성격과 서술자의식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09,
pp.223-269)
-
57
-
⟨유효공선행록⟩에 형상화된 여성수난담의 성격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배달말,
v.0,
2009,
pp.217-255)
-
58
-
대하소설의 여성과 법 -종통, 입후를 중심으로-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9,
pp.127-178)
-
59
-
애착의 갈망과 분리불안의 발현‒ ⟨하진양문록⟩ 진세백의 경우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7,
pp.193-226)
-
60
-
대하소설 여성수난담의 성격 — ⟨완월회맹연⟩을 중심으로 —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2,
pp.7-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