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우리나라 남해와 서해에서 채집된 대구의 계수 형질 비교
-
곽우석;
주형운;
국립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해양생물교육연구센터;
국립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해양생물교육연구센터;
(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= 한국어류학회지,
v.29,
2017,
pp.258-260)
-
52
-
국내 수수 종자의 용해도별 단백질 함량 변이
-
박세준;
박준영;
황수민;
서명철;
김태완;
국립한경대학교 식물생태화학연구소;
국립한경대학교 식물생태화학연구소;
국립한경대학교 식물생명환경과학과;
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환경과;
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환경과;
(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= 韓國作物學會誌,
v.59,
2014,
pp.245-251)
-
53
-
장려품종 콩의 형태 및 성분특성
-
김동만;
진재순;
김길환;
한국식품개발연구원 식품공학연구실;
한국식품개발연구원 식품공학연구실;
한국식품개발연구원 식품공학연구실;
(한국식품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,
v.22,
1990,
pp.398-404)
-
54
-
불가사리 구제기구의 개발과 그 성능에 관한 연구
-
박성욱;
김태호;
오희국;
국립수산진흥원;
국립수산진흥원;
국립수산진흥원;
(한국어업기술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,
v.33,
1997,
pp.166-172)
-
55
-
비단가리비 종묘생산을 위한 연구 1. 산란, 발생 및 유생사육
-
나기환;
정우건;
조창환;
어장환경연구소;
경상대학교 수산대학 양식학과;
경상대학교 수산대학 양식학과;
(韓國養殖學會誌 = Journal of aquaculture,
v.8,
1995,
pp.307-316)
-
56
-
도광․함풍 연간에 조선 사신들이 만났던 청나라 문인들-『한객시존』 의 자료를 중심으로-
-
김홍매;
중국 광동외어외무대학교 남국상학원;
(국문학연구,
v.0,
2023,
pp.213-236)
-
57
-
편백림의 임분밀도 관리 기준 탐색을 통한 시업체계 개선
-
정수영;
이광수;
김현수;
박준형;
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;
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;
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;
한국산지보전협회;
(한국산림과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,
v.113,
2024,
pp.131-142)
-
58
-
선박평형수처리장치 성능 평가를 위한 해양 바이러스 생사판별 방법 개발
-
현봉길;
우주은;
장풍국;
장민철;
이우진;
배미경;
신경순;
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;
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;
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;
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;
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;
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;
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;
(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=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-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,
v.22,
2021,
pp.431-438)
-
59
-
대구(Gadus macrocephalus)의 난 발생 및 자어 형태발달
-
김태진;
박충열;
이소광;
곽우석;
국립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;
국립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;
경상남도수산자원연구소;
국립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;
(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= 한국어류학회지,
v.19,
2007,
pp.343-349)
-
60
-
彈詞 《天雨花》와 明末淸初 閨房 여성들의 욕망
-
김지선;
이화여자대학교 중국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12,
pp.81-11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