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초・중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간 연계성 분석
-
장근주;
박영주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경남대학교;
(예술교육연구,
v.21,
2023,
pp.153-169)
-
52
-
디자인 사고(Design Thinking)를 적용한 초·중등 음악 프로젝트 수업 개발
-
장근주;
박영주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경남대학교;
(음악교육공학,
v.0,
2023,
pp.123-145)
-
53
-
음악 교육과정 특성화 중·고등학교의 운영실태 비교 및 개선 방안
-
장근주;
임혜숙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;
(미래음악교육연구,
v.6,
2021,
pp.83-109)
-
54
-
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한 초등학교 5~6학년 교사들의 인식
-
장근주;
임혜숙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전주교육대학교;
(음악교육공학,
v.0,
2021,
pp.119-137)
-
55
-
음악과 성취기준의 개발 양상 및 개서 방향 고찰
-
이경언;
장근주;
박지현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음악교육연구,
v.41,
2012,
pp.113-140)
-
56.
- 대안분야 중학교 과정의 음악 교육 실태
- 민경희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xiii, 130 p., 2012
-
57.
-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생활화 영역의 중학교 1학년 음악수업 지도방안 :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음악정보처리와 자기관리 역량을 중심으로
- 박민정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95장, 2020
-
58.
-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중학교 합창 교육 프로그램 모형 연구 : 자율적 협동학습(Co-op Co-op) 모형을 적용하여
- 이민선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90장, 2022
-
59.
-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교과서 창의성 교육내용 분석
- 이혜승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06 p., 2016
-
60.
-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, 6학년 음악교과서 국악 영역 분석
- 이정아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xii, 146 p., 20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