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7건 중 187건 출력
, 6/19 페이지
-
51
-
역동적 근대의 구체(具體) - 이해조의 초기작 검토
-
소영현;
명지대;
(국제어문,
v.0,
2002,
pp.295-320)
-
52.
- Choline과 Methionine이 브로일러의 成長率,飼料效率,營養素 利用率 및 肝脂肪 含量에 미치는 影響
- 이해조
-
慶尙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29p., 1986
-
53
-
학회지의 사이언스 - 사이언스를 중심으로 한 개화기 근대 학문체계의 정초에 관하여
-
조형래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42,
2012,
pp.45-93)
-
54
-
The Imaginative Geography of Russian Primorye in Lee Haejo’s Sohakryoung
-
Chunhua, Qian;
;
(한국기독교문화연구 = The institute for korean christianity culture,
v.18,
2022,
pp.141-167)
-
55
-
이해조의 ⟨소양정⟩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
-
서혜은;
대구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0,
pp.41-74)
-
56
-
주변부 여성 서사에 관한 고찰 - 이해조의 『강명화전』과 조선작의 『영자의 전성시대』를 중심으로
-
김경연;
;
(여성학연구,
v.13,
2003,
pp.1-18)
-
57
-
1910년대 초기 『매일신보』의 미디어적 변모와 ‘소설적 실감’의 형성
-
송민호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37,
2009,
pp.179-211)
-
58
-
‘소설(小說)’의 사실, 법률과 재판 『와사옥안』과 이해조의 『구마검』, 『구의산』을 중심으로
-
조형래;
계명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8,
pp.41-67)
-
59
-
『매일신보』에 연재된 이해조 신소설의 근대성 연구
-
이희정;
경북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04,
pp.93-116)
-
60
-
이해조 刪正 판소리의 《매일신보》 연재 양상과 의미
-
엄태웅;
단국대학교;
(국어문학,
v.45,
2008,
pp.145-16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