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재일동포사회의 통일운동 흐름과 새로운 모색 ― 원코리아페스티벌을 중심으로 ―
-
이신철;
성균관대학교;
(사림,
v.0,
2015,
pp.301-327)
-
52
-
새 정권과 역사교과서 흔들기
-
이신철;
성균관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8,
pp.3-11)
-
53
-
국가사회주의의 '아시아적 형태'로서의 북조선체제론의 몇 가지 문제: 서동만의 입론을 중심으로
-
이신철;
성균관대학교;
(사림,
v.0,
2006,
pp.201-225)
-
54
-
일본의 우경화 노선 강화와 한일 역사논쟁-아베 정권을 중심으로
-
이신철;
성균관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07,
pp.222-253)
-
55
-
식민주의와 민족주의의 함정을 넘어서 - 한국 근현대사 역사(교육)논쟁의 본질을 향한 탐색 -
-
이신철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;
(역사와 현실,
v.0,
2016,
pp.129-170)
-
56
-
국정화 논란 어떻게 정리하고 어디로 나아갈 것인가?
-
이신철;
성균관대학교;
(역사교육연구,
v.0,
2016,
pp.291-303)
-
57
-
6·25 남북전쟁시기 이북지역에서의 민간인 학살
-
이신철;
성균관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4,
pp.131-170)
-
58
-
한국 근대 역사주체의 형성과 근대 역사학의 태동 ― 근대 역사학의 새로운 이해를 위한 시론(試論) ―
-
이신철;
성균관대학교;
(사림,
v.0,
2012,
pp.31-56)
-
59
-
국사 교과서 정치도구화의 역사 ―이승만ㆍ박정희 독재정권을 중심으로 ―
-
이신철;
성균관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06,
pp.177-209)
-
60
-
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의‘근대성’ 논의 검토
-
이신철;
성균관대학교;
(사림,
v.0,
2011,
pp.27-5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