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1건 중 101건 출력
, 6/11 페이지
-
51
-
이문열의 『황제를 위하여』와 윈 리어우와린의 『평행선상의 민주주의』 - 한·태 소설에 나타난 카오스 비교
-
최난옥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41,
2011,
pp.491-512)
-
52
-
황홀과 비하, 한국 교양소설의 두 가지 표정―이광수와 이문열을 중심으로
-
이철호;
동국대학교;
(상허학보,
v.37,
2013,
pp.321-361)
-
53
-
국경을 건너는 몇 가지 방법 -1980년대 이문열・복거일 역사소설에 나타난 이동의 상상력과 그 한계
-
김지윤;
포항공과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5,
pp.261-303)
-
54
-
현대소설에 나타난 ‘젊음’의 발현 양상
-
안남연;
경기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29,
2009,
pp.193-211)
-
55
-
한국과 일본 종교문학의 특성연구 -엔도 슈사쿠와 이문열, 김동리 문학을 중심으로-
-
이평춘;
연세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4,
pp.289-308)
-
56
-
자아를 찾아 떠나는 여행 - 헤르만 헤세의 『데미안』과 이문열의 『젊은날의 초상』
-
박정희;
;
(헤세연구 = Hesse-Forschung,
v.19,
2008,
pp.107-128)
-
57
-
유산소운동과 diacylglycerol 섭취가 비만인의 혈중 지질성분 및 안정 시 대사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
-
이문열;
백일영;
곽이섭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동의대학교;
(생명과학회지,
v.20,
2010,
pp.1261-1267)
-
58
-
대학생의 현실 인식 변화와 교양교육의 방향: 이문열, 박민규, 김애란, 장강명의 작품을 중심으로
-
윤정업;
한국관광대학교;
(교양학 연구,
v.0,
2019,
pp.7-32)
-
59
-
한국 현대소설과 성서신학의 ‘교통 공간’ -이청준, 이문열, 이승우의 몇몇 작품을 중심으로
-
차정식;
한일장신대학교;
(한국기독교신학논총,
v.0,
2011,
pp.221-258)
-
60
-
대학생의 현실 인식 변화와 교양교육의 방향: 이문열, 박민규, 김애란, 장강명의 작품을 중심으로
-
윤정업;
한국관광대학교;
(교양학 연구,
v.0,
2019,
pp.7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