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.
- J. Philip Wogaman의 도덕적 판단 연구
- 조정환
-
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, 국내석사,
iv, 87p., 2001
-
52.
- 아리스토텔레스의 ‘습관’ 개념을 통한 인성교육의 기초 탐구
- 황보현
-
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1 p., 2015
-
53.
- 동서양의 '덕' 개념에 담긴 교육적 특질 : 원시유교와 헬라스철학의 덕 사상을 중심으로
- 백인기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0장, 2013
-
54
-
시민 소통의 이상적 조건 - 아리스토텔레스의 ‘사회적 우애’를 중심으로 -
-
손윤락;
동국대학교;
(수사학,
v.0,
2019,
pp.7-30)
-
55.
- 대학수학능력시험 생활과 윤리 과목의 선택형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
- 이웅수
-
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91pp., 2015
-
56
-
보편윤리와 도덕적 진리의 도덕교육 활용 방안
-
권수현;
성신여자대학교;
(교육연구,
v.81,
2021,
pp.27-44)
-
57.
- 흄과 셸러의 윤리학적 공감론이 초등 도덕 교육에 주는 함의
- 한재은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4
-
58
-
비례의 원칙에 대한 비판적 분석 - 미국의 논의를 중심으로
-
강우예;
;
(형사정책연구= Korean criminological review,
v.20,
2009,
pp.393-416)
-
59
-
생명개념과 생명윤리에 관한 법과기독교의 입장 비교연구
-
유경동;
감리교신학대학교;
(장신논단,
v.47,
2015,
pp.177-201)
-
60.
- 스피노자의 철학을 통한 디자인 윤리의 재구성
- 송수진
-
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13 p., 20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