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문법교육 내용으로서 '문법'과 '활동'에 대한 재고
-
유혜령;
연세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7,
pp.81-113)
-
52
-
놀이기반 배움의 방향에 관한 탐색: 표상을 넘어 사건으로
-
유혜령;
숙명여자대학교;
(영유아교육과정연구,
v.9,
2019,
pp.57-85)
-
53
-
장르 중심 문법교육을 위한 인용표현 기술 방안 연구
-
유혜령;
연세대학교;
(문법 교육,
v.42,
2021,
pp.89-129)
-
54
-
담화 유형과 화행 기능과의 상관성 연구
-
유혜령;
김유미;
연세대학교;
경희대학교;
(언어와 문화,
v.4,
2008,
pp.179-201)
-
55
-
Waldorf 유치원 교육의 인격교육적 특성에 관한 고찰
-
유혜령;
주진희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포항 옥스퍼드유치원;
(아동교육,
v.14,
2005,
pp.255-271)
-
56
-
대학생 글쓰기 텍스트에서 어색한 문장에 대한 고찰
-
유혜령;
정희모;
서울여자대학교;
연세대학교;
(한국언어문화,
v.0,
2012,
pp.201-220)
-
57
-
문법 능력과 작문 능력 간의 상관성 고찰 -고등학교 1학년생의 논술문을 중심으로-
-
유혜령;
김성숙;
연세대학교;
한양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11,
pp.611-638)
-
58
-
장르 문식성 교육을 위한 인용 표현의 실증적 연구 - 학술텍스트, 신문기사, 소설 말뭉치를 중심으로 -
-
유혜령;
이선희;
연세대학교;
Wellesley College;
(리터러시 연구,
v.0,
2016,
pp.77-111)
-
59
-
대학생 글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오류 양상
-
정희모;
유혜령;
연세대학교;
서울여자대학교;
(어문론집,
v.52,
2012,
pp.147-172)
-
60
-
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능력 연구 -대학 입학 전의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
-
김성숙;
유혜령;
연세대학교;
서울여자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12,
pp.1-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