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≪토끼전≫에서 19세기 별주부의 등장에 대한 고찰
-
이진오;
금오공과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7,
pp.141-162)
-
52.
- 18세기 秦漢古文論의 전개와 실현 양상
- 하지영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63 p., 2014
-
53
-
한국 속화(俗畵)(민화(民畵))에 표현된 식물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
-
길금선;
김재식;
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;
전북대학교 조경학과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29,
2011,
pp.81-89)
-
54.
- 조선시대 세시민속 관련 문헌의 지형도
- 김효정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박사,
, 2022
-
55
-
『흠영(欽英)』을 통해 본 유만주(兪晩柱)의 서화 감상과 수집 활동
-
황정연;
국립문화재연구소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08,
pp.292-327)

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