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37건 중 737건 출력
, 6/74 페이지
-
51.
- 조선시대 유·불(儒·佛) 의례의 상관성 연구
- 심일종
-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ix, 148 p., 2023
-
52.
- 근대 이후 유교식 상례의 변화 연구 : 국가정책과 의례규범을 중심으로
- 이철영
-
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87, 2019
-
53
-
근대 이후 상례(喪禮)의 변화에 대한 연구
-
이철영;
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;
(Industry promotion research = 산업진흥연구,
v.9,
2024,
pp.163-174)
-
54
-
儒敎的 宗敎性에 관한 일고찰- 成均館과 成均館 儀禮를 중심으로 -
-
김성실;
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;
(퇴계학논총,
v.0,
2022,
pp.125-157)
-
55.
- 조선 전기 국행 기청제의 정비
- 김수연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52p, 2018
-
56.
- 의례를 통해 본 일상의 정치 : 전남 순천의 한 동족마을 사례를 중심으로
- 정종민
-
全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ii, 106p., 2004
-
57
-
한국유교 종족의례의 특징과 의미: 시제(時祭)의 ‘순례화’와 ‘조상종교론’을 중심으로
-
심일종;
서울대학교;
(종교문화비평,
v.32,
2017,
pp.288-327)
-
58.
- 韓國 宗敎服飾의 象徵性에 關한 硏究 : -圓佛敎 儀禮服飾을 中心으로
- 김혜순
-
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p238, 2011
-
59.
- 조선시대의 祈禳儀禮 연구 : 國家와 王室을 중심으로
- 김효경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283 p., 2009
-
60
-
유교가례의 변용과 창조적 계승
-
이희재;
;
(儒敎 思想 硏究,
v.31,
2008,
pp.25-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