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1건 중 101건 출력
, 6/11 페이지
-
51
-
조선초기 [治平要覽] 편찬배경과 성격
-
오항녕;
국가기록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06,
pp.5-33)
-
52
-
아키비스트의 역할과 윤리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기록학연구,
v.0,
2003,
pp.109-127)
-
53
-
조선시대 추안(推案)에서 만난 주체의 문제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중국어문논역총간,
v.0,
2014,
pp.63-88)
-
54
-
기축옥사의 비극적 사건과 기억들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한국인물사연구,
v.0,
2015,
pp.245-281)
-
55
-
특집 : 그을린 민족문화 : 전유, 내면화 그리고 근대주의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5,
pp.109-139)
-
56
-
尤菴 宋時烈 문집의 편찬과 간행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08,
pp.281-311)
-
57
-
기록학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38,
2003,
pp.23-46)
-
58
-
문치주의와 대칭적 경세론에서 본 ⟨⟨經筵日記⟩⟩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28,
2014,
pp.147-178)
-
59
-
『현종실록』의 편찬과 개수(改修)- 시정기찬수범례(時政記纂修凡例)를 통한 비교 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4,
pp.179-228)
-
60
-
존재(存齋) 위백규(魏伯珪)의 독사론(讀史論) - 「상론(尙論)」과 「대명기(大明紀)」를 중심으로 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13,
pp.223-2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