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10건 중 210건 출력
, 6/21 페이지
-
51
-
출판저널 창간5주년 기념세미나 제2주제 발표 및 토론-포스트모던문화의 글쓰기와 저자
-
복거일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110,
1992,
pp.14-17)
-
52
-
해방기 한국영화 속 도시주거풍경에 대한 융합적 연구
-
문근종;
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;
(한국융합학회논문지 =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,
v.9,
2018,
pp.119-125)
-
53
-
김기영, 평판 만들기 - ‘악취미’의 영화감독에서 ‘우리 영화의 이단아’로
-
금동현;
경북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24,
pp.125-161)
-
54
-
한국현대문학연구의 발전과 과제
-
조남현;
서울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8,
pp.33-52)
-
55.
-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을 중심으로 영화 <티탄(Titane)>에 나타난 초월적 신체 이미지 연구
- 박지영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7 장, 2024
-
56.
- 스크린쿼터제도와 한국영화 흥행 결정요인 분석
- 김대영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6 p., 2005
-
57.
- 1960년대 가족 드라마의 형성과정과 제 양상 연구
- 이길성
-
중앙대학교, 국내박사,
ii, 181 p., 2006
-
58
-
역사와 영화 : 교과목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
-
박순준;
;
(역사와경계 = History & the Boundaries,
v.74,
2010,
pp.353-401)
-
59
-
영화 관객의 온라인 평가 분석 - <박쥐>를 중심으로
-
박승현;
송현주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(언론과학연구,
v.10,
2010,
pp.157-191)
-
60
-
미하엘 하네케의 ⟨늑대의 시간⟩ - 영화의 상호텍스트성과 관객의 수용 문제를 중심으로
-
김형래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20,
pp.253-27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