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16세기 후반 경상도 상주의 지역농법
-
염정섭;
서울대학교;
(농업사연구,
v.2,
2003,
pp.93-122)
-
52
-
순조대 초반 勸農策의 시행과 量田 추진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역사교육논집,
v.0,
2013,
pp.373-407)
-
53
-
『山家要錄』農書 부문의 편찬과정과 서술방식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지역과 역사,
v.0,
2011,
pp.69-108)
-
54
-
고려의 중국 農書‧曆書‧擇日書 도입과 「吉凶逐月橫看 木板」의 성격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4,
pp.75-109)
-
55
-
조선시대 양반가 농업경영에 대한 풍성한 볼거리와 다채로운 해석― ⟨⟨조선시대 양반가의 농업경영⟩⟩(김건태, 역사비평사, 2004) ―
-
염정섭;
서원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5,
pp.335-351)
-
56
-
조선후기 대동강 하류 河中島의 개간과 宮房田의 성립 및 변천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10,
pp.101-130)
-
57
-
18세기 후반 正祖代 農政策의 전개
-
염정섭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03,
pp.217-250)
-
58
-
18세기 후반 正祖代 勸農策과 水利 진흥책
-
염정섭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02,
pp.179-215)
-
59
-
『林園經濟志』 「本利志」의 農政改善論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09,
pp.81-106)
-
60
-
17세기 초반 「위빈명농기(渭濱明農記)」, 「전사문(田事門)」의 편찬 경위와 농법의 특색
-
염정섭;
서울대학교;
(농업사연구,
v.3,
2004,
pp.79-10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