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읽기 기초학력 평가를 위한 선결 과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05,
pp.213-242)
-
52
-
쓰기 교과서의 ‘활동’ 구성에 대한 연구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06,
pp.27-50)
-
53
-
문학 수업 컨설팅의 구조와 효과에 대한 연구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7,
2007,
pp.117-144)
-
54
-
문학교육과 학습자의 발달 단계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3,
pp.185-208)
-
55
-
광고교육을 위한 문화 지식의 변용 가능성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02,
pp.91-126)
-
56
-
학습자의 자기 이해를 위한 문학교육 평가 방안 탐색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09,
pp.345-370)
-
57
-
문학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지식론의 방향 탐색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9,
pp.193-222)
-
58
-
『국어국문학』을 중심으로 본 국어교육 연구의 흐름과 과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2,
pp.215-245)
-
59
-
디지털 시대 고전시가의 발견 및 재구성이 던진 교육적 질문과 과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8,
pp.207-236)
-
60
-
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으로부터의 질문과 도전 - 교육과정 기획자로서의 교사의 출현 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22,
pp.45-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