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7건 중 107건 출력
, 6/11 페이지
-
51
-
사실의 기록과 ‘傳’ 양식의 새로운 가능성 -「柳淵傳」을 중심으로-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9,
pp.121-140)
-
52
-
근대한문학의 성격과 辛亥唫社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漢文學報,
v.22,
2010,
pp.107-129)
-
53
-
대학 교양으로서의 한문교육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
-
신상필;
성균관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0,
pp.31-54)
-
54
-
연암 박지원의 ⟨서이방익사(書李邦翼事)⟩를 통해 본 조선후기 해외인식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3,
pp.297-326)
-
55
-
天君類 출현의 철학적 기반과 서사문학적 지위
-
신상필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;
(漢文學報,
v.23,
2010,
pp.285-311)
-
56
-
신자료 한문소설 ⟨금산사대몽록(金山寺大夢錄)⟩의 성격과 의미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15,
pp.149-175)
-
57
-
傳奇小說의 일상성과 내면응시를 통한 조선후기적 변주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0,
2011,
pp.71-97)
-
58
-
불교 잡지의 지리의식과 그 전개 양상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09,
pp.63-87)
-
59
-
異本을 통해 본 「剪燈新話句解」의 전파 양상과 그 함의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0,
pp.511-536)
-
60
-
필기, 야담에 형상화된 기생의 면모와 그 번역학적 의미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5,
pp.29-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