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867건 중 867건 출력
, 6/87 페이지
-
51
-
다문화사회에서 고승의 역할-신라사회를 중심으로-
-
안경식;
부산대학교;
(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,
v.19,
2013,
pp.53-81)
-
52
-
부정을 부정한다-신라사를 다시 쓰기 위한 기초작업-
-
이종욱;
서강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9,
pp.491-546)
-
53
-
『삼국사기』의 왜 인식-신라사의 경험을 토대로-
-
이강래;
전남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04,
pp.1-43)
-
54
-
신라사천왕사건축(新羅四天王寺建築)의 설계기술(設計技術) 고찰(考察)
-
이정민;
미조구치 아키노리;
waseda university;
와세다대학 연구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3,
2020,
pp.80-109)
-
55
-
삼국통일기 신라사회에 나타난 북방 유목문화의 특징
-
손병욱;
경상대학교;
(윤리교육연구,
v.0,
2006,
pp.225-268)
-
56
-
A study on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Cheong-ju Uncheon-dong Silla Stele
-
Jeon, Jin-Kook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84,
2019,
pp.147-176)
-
57
-
중·고등학교 『역사』·『한국사』의 신라사 쟁점에 대한 서술 검토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5,
pp.107-134)
-
58.
- 積石木槨墳 시대의 新羅 神仙道敎사상에 관한 고찰
- 김태식
-
선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81 p., 2009
-
59
-
신라사찰 석축(石築)조성 방식 변화와 불국사 석축의 형식과 의미
-
오세덕;
경주대학교;
(불교학보,
v.0,
2020,
pp.133-158)
-
60
-
일연(一然)의 신라사 시기구분 인식 - 『삼국유사』 기이(紀異)편을 중심으로 -
-
박미선;
대림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8,
pp.143-17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