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4건 중 174건 출력
, 6/18 페이지
-
51
-
환경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환경교육 범주에 대한 인식과 환경교육 전문성 함양의 변화 분석
-
맹희주;
손연아;
최돈형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環境敎育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,
v.22,
2009,
pp.136-151)
-
52
-
지속가능한 교육으로서의 환경교육 담당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 및 기준 개발 연구
-
최돈형;
진옥화;
이향미;
손연아;
이성희;
조성화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단국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環境敎育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,
v.20,
2007,
pp.1-18)
-
53
-
동기전략을 적용한 의미망 프로그램 활용 수업이 고등학교 생물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: 생물I '유전' 단원을 중심으로
-
김동렬;
문두호;
손연아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단국대학교;
(한국과학교육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,
v.26,
2006,
pp.393-405)
-
54
-
중학교 지역공동영재학급에서 영어로 진행하는 웹기반 과학영재수업 사례 분석
-
반은기;
이향미;
손연아;
강경희;
단국대;
이매중;
단국대;
단국대;
(한국과학교육학회 2009년도 55차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대회,
v.2009,
2009,
pp.57-57)
-
55
-
환경부 환경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및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
-
문성채;
남상덕;
손연아;
맹희주;
단국대학교;
(사)한국환경교육협회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(環境敎育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,
v.27,
2014,
pp.252-274)
-
56
-
환경쟁점분석 수업이 중학생의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효과
-
송선경;
최돈형;
백성혜;
손연아;
삼선중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단국대학교;
(環境敎育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,
v.20,
2007,
pp.42-61)
-
57
-
중등 환경 교과서와 10학년 과학 교과서의 공통 내용 분석
-
신동희;
손연아;
박준희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명지외국어고등학교;
(環境敎育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,
v.21,
2008,
pp.26-40)
-
58
-
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'과학' 교과서의 STS 내용분석 - '생명의 진화'와 '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' 영역을 중심으로 -
-
정경하;
손연아;
김동렬;
단국대학;
단국대학;
대구교육대학교;
(과학교육연구지 :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= Journal of science education,
v.39,
2015,
pp.343-357)
-
59
-
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수<TEX>${ cdot}$</TEX>학습 프로그램(TLSF Program)과 우리나라 환경 교육과정 비교 분석
-
오경환;
민병미;
손연아;
최돈형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環境敎育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,
v.17,
2004,
pp.25-42)
-
60
-
생물 예비교사의 과학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 시연에 나타난 질문 유형 분석
-
조인희;
손연아;
김동렬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대구교육대학교;
(과학교육연구지 :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= Journal of science education,
v.36,
2012,
pp.167-18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