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1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德性과 心性:덕윤리학과 성리학의 관점
-
차미란;
;
(道德敎育硏究= (The)Journal of moral education,
v.17,
2005,
pp.25-43)
-
52
-
[논단 3]면우 곽종석의 성리학 이해와 현실대응 자세
-
설석규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1,
2004,
pp.349-380)
-
53
-
조선 성리학이 지닌 특수성에 대한 연구
-
윤사순;
;
(西江人文論叢 = Humanities journal,
v.2003,
2003,
pp.1-23)
-
54
-
성리학 관점에서의 소쇄원 조경요소 분석
-
박근범;
김진오;
경희대학교;
경희대학교;
(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,
v.10,
2024,
pp.272-282)
-
55.
- 우계성리학에 나타난 교육이론 연구
- 조선미
-
韓國敎員大學校, 국내석사,
iv,57장, 1994
-
56
-
성리학의 보편적 인간성과 차별적 민족성
-
조남호;
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4,
pp.161-190)
-
57
-
보편철학과 한국 성리학?퇴계와 율곡을 중심으로
-
김영건;
서강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5,
pp.111-150)
-
58
-
한국 성리학에 있어 주체적 사유의 역사
-
김기현;
전남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5,
pp.5-35)
-
59.
- 박세당 사상의 탈성리학적 경향과 노장해석
- 박명남
-
安東大學校, 국내석사,
62장, 2003
-
60.
- 려말선초 성리학자들의 불교인식
- 이현숙
-
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1 장., 20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