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130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세상으로 나아가기의 문화적 의미 - 『삼국유사』 <피은>편을 중심으로
-
김경섭;
김정래;
을지대학교 교양학부;
을지대학교 의료공학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8,
2022,
pp.333-339)
-
52
-
『삼국유사(三國遺事)』 소재 설화 <도화녀와 비형랑>의 공연예술적 변용 양상과 가치
-
하경숙;
선문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3,
pp.69-96)
-
53
-
『삼국유사』 왕력의 편찬성격과 시기
-
李根直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998,
1998,
pp.25-51)
-
54
-
『삼국유사』탑상편과 일연의 불교미술사관
-
문명대;
;
(미술사학,
v.2,
1990,
pp.11-24)
-
55
-
고전 『삼국유사』의 학습만화로의 변용 연구
-
김대범,;
고훈,;
;
(철학·사상·문화 = Philosophy·thought·culture,
v.30,
2019,
pp.142-160)
-
56.
-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적용 연구 : 「삼국유사」소재 스토리를 중심으로
- 양지욱
-
선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138 p., 2014
-
57
-
윤회에 나타나는 정체성 바꾸기의 의미 - 『삼국유사』와 영웅소설을 중심으로
-
심혜경;
;
(한국어문학연구 =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60,
2013,
pp.5-38)
-
58
-
종교적 신앙심과 마술적 영험 - 『삼국유사』의 불교적 읽기
-
조은수;
;
(韓國文化,
v.40,
2007,
pp.157-177)
-
59.
- 『삼국유사』소재 관음설화의 유형연구
- 이미현
-
경기대학교, 국내석사,
ⅱ, 62 [장], 2003
-
60
-
『삼국유사』 소재 미추왕 설화의 형성배경과 그 의미
-
조유영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98,
2007,
pp.215-23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