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52건 중 252건 출력
, 6/26 페이지
-
51
-
‘현대조선문학선집’의 구성 원리와 균열 양상 - 북조선 정전집, 『현대조선문학선집(1~16)』(1957~1961)을 중심으로
-
남원진;
건국대학교/Konkuk uni.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19,
2018,
pp.263-301)
-
52
-
해방 후 북한의 반소반공운동: 조선민주당과 북조선 천도교청우당
-
기광서;
조선대학교;
(동북아연구,
v., 36,
2021,
pp.101-134)
-
53
-
북조선의 역사, 자주성의 욕망- 한설야의 『력사』 재론
-
남원진;
홍익대학교;
(상허학보,
v.36,
2012,
pp.359-400)
-
54
-
해방기 북조선 시문학사의 재구성에 대한 연구
-
남원진;
건국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14,
pp.309-357)
-
55
-
풍문으로 들었소, 『이북통신』을 경유한 북조선
-
조은정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;
(역사비평,
v.0,
2023,
pp.69-99)
-
56
-
해방기 북조선 시문학 형성과 미학의 정치성
-
오창은;
중앙대학교;
(어문론집,
v.48,
2011,
pp.7-36)
-
57
-
8.15해방기 북한 문예운동사 연구-북조선예술총련맹 결성(1946.3)에서 6.25전쟁 전(1950.6)까지-
-
김성수;
성균관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5,
pp.483-520)
-
58
-
북조선 정전집, ‘현대조선문학선집’ 연구 서설: 1980년대 중반 이후『현대조선문학선집(1∼53)』 (1987∼2011)을 중심으로
-
남원진;
건국대학교;
(통일정책연구,
v.26,
2017,
pp.135-176)
-
59
-
‘인민’의 창조와 사라진 ‘민중’ ― 방법으로서 북조선 민중사 모색
-
이신철;
성균관대학교;
(역사문제연구,
v.14,
2010,
pp.195-232)
-
60
-
해방 직후 북조선민주여성총동맹의 상황과 정치 참여
-
김광운;
국사편찬위원회;
(사학연구,
v.0,
2005,
pp.135-15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