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사르트르 한국 수용사 연구(1948-2007) - 석 · 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10,
pp.221-251)
-
52
-
사르트르의 폭력 문제 분석을 위한 제안 - ‘의사소통적 윤리 모델’ 정립을 위하여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7,
pp.151-175)
-
53
-
사르트르와 68혁명 (II) - 마오주의자들과의 교류와 지식인관의 변모 -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,
v.73,
2020,
pp.54-85)
-
54
-
사르트르와 68혁명 (I) - 두 가지 형태의 참여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8,
pp.31-60)
-
55
-
사르트르와 수동성의 암초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현상학과 현대철학,
v., 82,
2019,
pp.129-168)
-
56
-
롤랑 바르트의 문학사용법 - ‘디아포라’ 개념을 중심으로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8,
pp.217-239)
-
57
-
데리다의 무조건적 환대의 한 경우 - 지오노의 ⟨나무를 심은 사람⟩을 중심으로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人文學硏究,
v.31,
2019,
pp.31-62)
-
58
-
역설, 불가능성 혹은 넘침- 모스, 데리다, 리쾨르의 선물론 -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비교문화연구,
v.52,
2018,
pp.1-29)
-
59
-
리쾨르의 ‘삼중의 미메시스’와 신경숙의 「외딴 방」의 비밀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人文學硏究,
v.33,
2020,
pp.141-169)
-
60
-
사르트르와 카뮈의 문학론 비교 –‘참여’ 또는 ‘승선’?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20,
pp.33-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