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6건 중 116건 출력
, 6/12 페이지
-
51
-
법조윤리 딜레마 상황의 윤리적 함의와 해결 원칙
-
김인회;
인하대학교;
(외법논집,
v.44,
2020,
pp.471-503)
-
52
-
법조윤리협의회의 기능 및 권한에 관한 고찰
-
정형근;
경희대학교;
(저스티스,
v.178,
2020,
pp.468-503)
-
53
-
법조윤리의 교육과 시험 - 한국과 미국의 비교법적 고찰 -
-
김재원;
성균관대학교;
(성균관법학,
v.22,
2010,
pp.1123-1146)
-
54
-
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조윤리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- 일본의 운영상황을 참고로 -
-
최단비;
;
(원광법학,
v.30,
2014,
pp.59-82)
-
55
-
변호사 간의 법조윤리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
-
배기석;
부산대학교;
(법학연구,
v.55,
2014,
pp.339-371)
-
56
-
「법률가학(法律家學)」으로서 법조윤리: 「법률가학」의 이론적 정초를 위해
-
강희원;
경희대학교;
(경희법학,
v.48,
2013,
pp.151-201)
-
57
-
독일 법조윤리규범의 실태와 시사점 - 변호사윤리를 중심으로 -
-
이주원;
김정환;
고려대학교;
사법정책연구원;
(고려법학,
v.0,
2010,
pp.85-112)
-
58
-
리걸테크(legal tech) 발달과 법조윤리의 대응 - 플랫폼에 의한 변호사광고를 중심으로 -
-
나지원;
아주대학교;
(아주법학,
v.15,
2021,
pp.25-53)
-
59
-
사법통역인 법조윤리의 법제화 -통역의 ‘정확성’이 형사재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-
-
송시섭;
동아대학교;
(홍익법학,
v.23,
2022,
pp.33-65)
-
60
-
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조윤리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- 일본의 운영상황을 참고로 -
-
최단비;
원광대학교;
(원광법학,
v.30,
2014,
pp.59-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