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자기초상의 미적 형상성 연구
-
박윤우;
서경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11,
pp.91-110)
-
52
-
문학 교재 구성에서 문학사 교육의 재인식
-
박윤우;
서경대학교;
(우리말글,
v.44,
2008,
pp.141-164)
-
53
-
기호/소통/문화로 본 매체언어와 문학어, 문학 능력
-
박윤우;
서경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8,
pp.11-35)
-
54
-
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다문화사회의 가치인식 방법 연구 - 하종오의 최근 시를 중심으로
-
박윤우;
서경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18,
pp.519-550)
-
55
-
중등과정 시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향 연구
-
박윤우;
서경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5,
pp.83-107)
-
56
-
이야기시'의 화자 분석과 시의 해석 방법
-
박윤우;
서경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6,
pp.223-248)
-
57
-
인지적 과업으로서 ‘문학논술’과 비평 교육의 지평
-
박윤우;
서경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7,
pp.321-343)
-
58
-
전후 모더니즘 시의 가치 인식과 문학사 교육
-
박윤우;
서경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1,
pp.111-131)
-
59
-
일제강점기 한국 현대 시인의 동아시아 경험에 대한 인문학적 재인식
-
박윤우;
서경대학교;
(우리말글,
v.87,
2020,
pp.391-412)
-
60
-
1950년대 김규동 시론에 나타난 현실성 인식
-
박윤우;
서경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09,
pp.173-1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