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국어과 평가와 창의적 사고력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04,
pp.165-192)
-
52
-
맥락 기반 읽기 지도의 관점과 반성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11,
pp.69-92)
-
53
-
지식과 창의성의 맥락에서 본 쓰기 유형 개발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02,
pp.111-130)
-
54
-
장르 인식을 위한비문학 제재 읽기 학습 방안 연구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16,
pp.123-152)
-
55
-
설명적 텍스트의 인터페이스와 독자의 이해
-
박수자;
부산교대;
(텍스트언어학,
v.24,
2008,
pp.27-53)
-
56
-
초등 교과용 도서의 적합성 고찰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11,
pp.137-170)
-
57
-
21세기 문식력과 국어과교육의 과제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03,
pp.3-66)
-
58
-
창의 인성 계발과 국어과 교육의 과제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13,
pp.31-51)
-
59
-
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‘교과 읽기’ 단원 설계 연구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17,
pp.37-61)
-
60
-
21세기 문식성 계발을 위한 내용문식성과 읽기 과제 모형 탐색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19,
pp.27-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