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,026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민요 문체의 특징 - 어미부 형태를 중심으로
-
高淳姬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6,
1999,
pp.21-44)
-
52
-
울주(울산)지역 민요 연구
-
홍장표;
;
(국악과 교육 = Journal of the Korean music and education,
v.22,
2004,
pp.137-213)
-
53
-
민요 사설과 향유 이야기의 결합
-
Bak, Gwan-su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40,
2014,
pp.33-56)
-
54
-
열두달을 노래한 민요의 연행 맥락과 시간 의식
-
이옥희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30,
2010,
pp.295-324)
-
55
-
民謠에 대한 研究 - 北韓에서 採集한 民謠를 中心으로
-
張翼善;
;
(남북문화예술연구,
v.2007,
2007,
pp.101-119)
-
56
-
〈제주도 민요〉
-
오남훈;
;
(국악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,
v.3,
2009,
pp.199-201)
-
57
-
경상도 민요 음고조직론
-
Choi Heon,;
;
(韓國學論集,
v.46,
2012,
pp.173-197)
-
58
-
민요의 전승과 교육을 위한 사설 표준화 방안
-
이성훈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32,
2011,
pp.87-112)
-
59
-
《도서지역 민요》와 민속문화정보
-
홍순일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19,
2006,
pp.275-313)
-
60
-
선유도·무녀도의 설화와 민요
-
홍순일;
김헌주;
김해미;
최유미;
;
(島嶼文化,
v.30,
2007,
pp.387-4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