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106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디아스포라의 시선으로 본 중국 조선족 아동문학 - 동요·동시를 중심으로 -
-
박영기;
덕성여자대학교;
(어린이문학교육연구,
v.14,
2013,
pp.233-248)
-
52
-
중국 현대문학 작품 속 유언비어를 바라보는 시선 — 관동대지진을 중심으로
-
고현진;
동덕여자대학교 중어중국학과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24,
pp.267-292)
-
53
-
시선의 욕망이 초래한 뜻밖의 사태 -문학의 한 가지 이야기 구도
-
김유동;
강원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7,
pp.5-47)
-
54
-
아동문학 형성기의 역사적 조건을 탐색하는 복수의 시선 ― 조은숙, ⟨⟨한국 아동문학의 형성: 아동의 발견, 그 이후의 문학⟩⟩(소명출판, 2009) (서평)
-
김화선;
배재대학교;
(아동청소년문학연구,
v.0,
2010,
pp.203-208)
-
55
-
19세기 부르주아를 바라보는 노(老) 대가의 몽롱한 시선, 피터 게이, 『부르주아전. 문학의 프로이트, 슈니츨러의 삶을 통해 본 부르주아 계급의 전기』 고유경 역, (파주: 서해문집, 2005), 432p.
-
김학이;
;
(독일연구 = Korean journal of German studies,
v.10,
2005,
pp.117-132)
-
56
-
서구의 문학과 예술을 바라보는 독특한 시선: 임철규 『눈의 역사 눈의 미학』
-
김명환;
서울대학교;
(안과밖:영미문학연구,
v.0,
2004,
pp.130-133)
-
57
-
홋타 요시에(堀田善衞) ⟨광장의 고독⟩의 시선 - 한국전쟁과 동시대의 일본문학 -
-
나카네 다카유키;
일본 에히메대학교;
(한국어와 문화,
v.7,
2010,
pp.187-210)
-
58
-
왕실의 인물을 바라보는 시선: 『종반행적(宗班行蹟)』에 담긴 15세기 관각문학의 일면
-
구슬아;
계명대학교;
(국문학연구,
v.0,
2021,
pp.135-167)
-
59
-
‘착한’ 돈과 윤리적 사회, ‘부자’를 보는 문학적 시선 - 구비설화에 나타난 ‘돈/ 부자’ 담론의 서사 논리와 문학적 상상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8,
pp.173-205)
-
60
-
식민지기 일본어문학에 나타난 ‘만주’ 조선인상 - ‘만주’를 바라보는 동시대 시선의 제상(諸相) -
-
신승모;
동국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8,
pp.395-4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