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07건 중 407건 출력
, 6/41 페이지
-
51.
- 전통음악에서의 댄스스코어(무보) 적용방안 : 2학년 즐거운 생활을 중심으로
- 김경혜
-
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57p., 2005
-
52
-
저층수 배출 고무보와 가동보의 하천수질 비교
-
김흥섭;
김성준;
박제철;
원찬희;
전용태;
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;
전북대학교 환경공학과;
금오공과대학교;
전북대학교;
전북대학교 환경공학과;
(한국환경기술학회지,
v.14,
2013,
pp.264-268)
-
53
-
정인삼 진쇠무 연구
-
양한;
;
(국악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,
v.4,
2010,
pp.133-188)
-
54
-
한국궁중무용의 춤사위 기록법 연구*? ??시용무보??의 술어를 중심으로 ?
-
김용;
숙명여대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06,
pp.379-428)
-
55
-
그림기법을 통하여 본 『時用舞譜』의 제작정황 推定
-
이소영;
조용진;
한서대학교;
한서대학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03,
pp.455-492)
-
56
-
이왕직아악부의 정재 음악 연구 - 이병성ㆍ성경린 무보를 중심으로 -
-
이종숙;
강원대학교;
(공연문화연구,
v.0,
2017,
pp.173-214)
-
57
-
전통춤 계승자들의 무보, 누구를 위한 기록일까?
-
최해리;
연세대학교;
(무용역사기록학,
v.40,
2016,
pp.315-320)
-
58.
- 呈才舞圖笏記의 舞山香과 現行 舞山香의 舞譜圖解를 통한 比較
- 김미래
-
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ii, 78 p., 2004
-
59
-
敦煌舞譜『南歌子』와 樂,歌와의 관계 연구
-
金賢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연구,
v.31,
2003,
pp.16-314)
-
60
-
이왕직아악부의 정재 음악 연구 - 이병성ㆍ성경린 무보를 중심으로 -
-
이종숙;
;
(공연문화연구,
v.0,
2017,
pp.173-21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