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263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무당굿도 이제는 신명풀이 예술이다
-
윤동환;
;
(실천민속학 새책,
v.3,
2001,
pp.187-203)
-
52
-
감마선이 무당벌레의 생존과 발육에 미치는 영향
-
서미자;
이희진;
강은진;
강시용;
유용만;
윤영남;
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;
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;
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;
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;
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;
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;
(한국응용곤충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,
v.50,
2011,
pp.335-342)
-
53
-
문화변동에 따른 한중일 무당의 현실적응 비교
-
조정현;
;
(比較民俗學 = Asian Comparative Folklore,
v.45,
2011,
pp.381-409)
-
54
-
한국산 무당벌레붙이과(딱정벌레목: 머리대장상과)의 분류학적 검토
-
Jung, Boo Hee;
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;
(한국응용곤충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,
v.53,
2014,
pp.39-49)
-
55
-
무당벌레(Harmonia axyridis)의 중장내 먹이 Acid Phosphatase(AP)의 활성변화
-
홍옥기;
박해철;
박규태;
박용철;
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;
산림청 임업연구원 산림생태과 생물다양성실;
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;
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;
(한국응용곤충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,
v.34,
1995,
pp.95-99)
-
56
-
배뱅이굿과 ⟨무당사또⟩
-
김인숙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양음악(구 민족음악학),
v.56,
2024,
pp.109-134)
-
57
-
삶의 처지와 노래 생산 양식의 상관성 - 村婦, 무당, 그리고 기독교인으로 살아온 김안례의 사례를 중심으로
-
나승만;
;
(島嶼文化,
v.16,
1998,
pp.181-197)
-
58
-
한국산 무당개구리 두 개체군의 먹이 습성 비교
-
고영민;
장민호;
오홍식;
제주대학교 생명과학과;
제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;
제주대학교 과학교육과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21,
2007,
pp.461-467)
-
59
-
경기도 개성 덕물산 도당굿 연구 - 마을사람ㆍ무당ㆍ굿중패ㆍ사당패가 만든 신명의 도가니를 사례로
-
김헌선;
;
(한국무속학 = Korean shamanism,
v.19,
2009,
pp.69-107)
-
60
-
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무당벌레에 기생하는 무당벌레기생파리(Degeeria separata)의 외부형태적 특징
-
윤영남;
김남성;
김기덕;
박수진;
서미자;
채순용;
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;
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;
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;
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;
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;
한국인삼연초연구원 원료3실;
(농업과학연구 =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,
v.27,
2000,
pp.20-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