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.
- 한·중 문학에 나타난 재만조선인과 중국인의 갈등 양상
- 하목
-
광운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2 p., 2019
-
52.
- 언론인 홍양명의 남경 국민정부 인식과 전향 논리의 형성
- 노슬아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46장, 2021
-
53
-
지역너머의 萬寶山事件(1931년)
-
손승회;
영남대학교;
(인문연구,
v.0,
2007,
pp.133-164)
-
54
-
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,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
-
김창호;
강원대학교;
(만주연구,
v.0,
2011,
pp.71-84)
-
55
-
1931년의 ‘배화(排華)사건’과 민족주의 담론
-
이상경;
한국과학기술원;
(만주연구,
v.0,
2011,
pp.85-115)
-
56
-
일제 강점기 전남지역 화교의 정착과정과 경제・사회적 활동
-
양세영;
세한대학교;
(호남학,
v.0,
2021,
pp.221-258)
-
57.
- 일제강점기 한국인의 화교배척
- 김희용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46p., 2009
-
58
-
萬寶山 사건 직후 華僑排斥事件에 대한 日帝의 대응
-
최병도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2,
2012,
pp.297-329)
-
59.
- 1930년대 번역무협소설 연구: ?강호긔협전?과 ?무술원조 중국외파무협전?을 대상으로
- 서원득
-
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ⅶ, 173 p., 2022
-
60.
- 일제시기 조선 화교의 금융네트워크 : 1910-20년대 화교상인을 중심으로
- 석하림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64 p., 20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