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61건 중 261건 출력
, 6/27 페이지
-
51
-
아버지의 귀환, 현대소설의 가족 로맨스- 김원일과 김소진의 소설을 중심으로
-
김한식;
상명대학교;
(돈암어문학,
v.32,
2017,
pp.7-29)
-
52
-
이청준 소설의 가족 로맨스와 주체화의 방식
-
정연희;
대진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21,
pp.401-429)
-
53
-
한국 웹소설 ‘로맨스판타지’ 장르의 서사적 특성 연구
-
안상원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인문콘텐츠,
v.0,
2019,
pp.219-234)
-
54
-
현길언 소설에 나타난 집단로맨스와 반영적 글쓰기
-
최영자;
강원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13,
pp.643-678)
-
55
-
미국의 로맨스 소설과 프래그머티즘 철학과의 연속성에 관한 고찰—허먼 멜빌의『모비딕』을 중심으로
-
황재광;
;
(영어영문학,
v.58,
2012,
pp.217-247)
-
56
-
한국 로맨스 웹소설과 딱지본 소설의 파라텍스트에나타난 공통점 분석
-
정은혜;
이화여자대학교;
(인문콘텐츠,
v.0,
2018,
pp.247-267)
-
57
-
여성인물의 커리어포부와 웹 로맨스 서사의 변화 - 로맨스판타지의 ‘악녀’ 주인공 소설을 중심으로
-
류수연;
인하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21,
pp.35-58)
-
58.
- 사이버펑크 소설 (Cyberpunk Fiction)의 윤리성 : 윌리엄 깁슨(William Gibson)의 『뉴로맨서』(Neuromancer)를 중심으로
- 손명신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4 p., 2003
-
59
-
The Combination of Adventures and Misogyny and the Desire to Readings - 'Growth Story' in the Web Novel Romance Fantasy Genre
-
Ahn, Sang-won;
;
(梨花語文論集,
v.53,
2021,
pp.175-196)
-
60
-
대중서사 속 ‘클리셰’의 변화양상 - 로맨스 웹소설을 중심으로 -
-
김예니;
청운대학교;
(돈암어문학,
v.42,
2022,
pp.7-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