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.
- 아도르노의 부정성 사유를 실천하는 철학상담
- 박선영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v, 152 p., 2019
-
52.
- 초보상담자의 인간적 자질 향상을 위한 자기 이해 ~아도르노의 부정성 이해를 중심으로~
- 송슬기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111, 2022
-
53.
- 자살문제에 대한 철학상담적 접근 : 소크라테스적 대화를 중심으로
- 김종숙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iv, 102 p., 2013
-
54.
- 한국의 기업 경영자들이 겪는 번아웃과 그 철학상담적 함의
- 양석준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132, 2017
-
55.
- 한국기업 전문경영자의 CEO 되기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
- 양석준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214, 2022
-
56.
- 푸코의 '자기 배려(Epimeleia heautou)'와 철학상담 : 파르헤시아(Parrhêsia)와 아스케시스(Askêsis)를 중심으로
- 오응석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vi, 129 p., 2018
-
57.
-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론으로 본 은퇴불안과 철학상담 : 베이비부머 세대 남성을 중심으로
- 정재원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117, 2018
-
58.
- 하이데거의 ‘밝힘(Lichtung)’ 개념을 통해 본 꿈 해석 : 꿈-대화 사례를 중심으로
- 안미선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, 2017
-
59.
- 청소년 철학상담 집단프로그램에 대한 1인칭 체험연구 : '생각 사이-다' 프로그램 개발체험과 진행체험을 통한 철학상담자의 정체성 드러내기
- 조연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vii, 174 p., 2018
-
60.
- 비혼(非婚)여성의 삶의 의미에 관한 연구 : 로고테라피적 이해와 철학상담적 접근가능성
- 박송희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iv, 103 p., 2013

6